기업의 감가상각비 정액법 , 정률법 처리 방법

반응형

기업은 기본적으로 자산을 가지고 있기에 매년 감가상각비 처리를 하고 있고 감가상각비가 영업이익에 비해 커버리면 적자가 나기 때문에 주식투자자라면이 감가상각비가 영업이익에서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 포스팅에서는 기업이 감가상각을 어떠한 방법으로 처리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기업의 감가상각비 정액법 , 정률법 처리 방법

기업의 감가상각비 정액법 , 정률법 처리 방법 기업의 감가상각비 정액법 , 정률법 처리 방법 

 

기업의 감가상각비 정액법 , 정률법 처리 방법  

 

감가상각 뜻

 

'감가'는 덜다 감(減), 값 가(價)를 쓰는데, 자산의 가치가 계속 유지되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상각'은 갚다 상(償), 물리치다 각(却)을 써서 감소한 가치를 회계에 반영한다는 의미입니다.

 

감가상각방법

 

기업은 자산(기계장치, 건물, 차량 등)을 취득시 첫 해는 비용이 아닌 자산으로 회계처리를 하고, 그 후부터 감가상각방법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나눠 몇 년간에 걸쳐 비용으로 처리하는데요. 생산설비는 보통 7~8년, 건물은 20년 이상으로 쪼개 감가상각비로 비용처리를 하고 있죠.

이렇게 하고 있는 이유는 모가 큰 생산설비투자 자금을 한 번에 비용으로 처리할 경우 생산설비를 취득한 회계 연도에는 대규모 적자가 불가피하기 때문입니다. 감가상각방법에는 대표적으로 [1] 정액법과 [2] 정률법이 있습니다.

[1] 정액법

감가상각비를 매년 똑같은 금액으로 비용처리하는 것.

 

[2] 정률법

보유초기에 감가상각비를 많이 배분하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적게 배분하는 것.

 

정률법 계산법
=(취득원가-전기말 감가상각누계액)×상각률

 

예를 들어 100,000원에 산 옷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이걸 정률법으로 매년 40%씩 감가상각 해 나간다고 가정하고 계산해 보면

1년 차 잔존가치:100,000×40%=40,000원

2년 차 잔존가치:(100,000-40,000)×40%=24,000원

3년 차 잔존가치:(100,000-64,000)×40%=14,400원

4년 차 잔존가치:(100,000-78,400)×40%=8,640원

이처럼 정률법은 매년 감가상각비가 감소하나, 정액법은 매년 동일합니다. 그렇다면 둘 중 최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감가상각방법은?

왜냐하면 정액법입니다. 그 이유는 최근에는 기계장치를 포함한 자산들의 교체주기가 워낙 빨라주고 있는 추세라 가속상각의 장점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죠.

끝으로 한 가지 더 말씀드리면 감가상각비는 영업이익을 계산할 때는 반영하는 값이지만 실질적인 현금 지출은 없는 비용이라 현금흐름표에서는 계속 플러스되고 있다는 거까지 알고 가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