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상식/주식

기업의 감가상각비 정액법 , 정률법 처리 방법

아보다 2024. 7. 15.
반응형

기업은 기본적으로 자산을 가지고 있기에 매년 감가상각비 처리를 하고 있고 감가상각비가 영업이익에 비해 커버리면 적자가 나기 때문에 주식투자자라면이 감가상각비가 영업이익에서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 포스팅에서는 기업이 감가상각을 어떠한 방법으로 처리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기업의 감가상각비 정액법 , 정률법 처리 방법

기업의 감가상각비 정액법 , 정률법 처리 방법 기업의 감가상각비 정액법 , 정률법 처리 방법 

 

기업의 감가상각비 정액법 , 정률법 처리 방법  

 

감가상각 뜻

 

'감가'는 덜다 감(減), 값 가(價)를 쓰는데, 자산의 가치가 계속 유지되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상각'은 갚다 상(償), 물리치다 각(却)을 써서 감소한 가치를 회계에 반영한다는 의미입니다.

 

감가상각방법

 

기업은 자산(기계장치, 건물, 차량 등)을 취득시 첫 해는 비용이 아닌 자산으로 회계처리를 하고, 그 후부터 감가상각방법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나눠 몇 년간에 걸쳐 비용으로 처리하는데요. 생산설비는 보통 7~8년, 건물은 20년 이상으로 쪼개 감가상각비로 비용처리를 하고 있죠.

이렇게 하고 있는 이유는 모가 큰 생산설비투자 자금을 한 번에 비용으로 처리할 경우 생산설비를 취득한 회계 연도에는 대규모 적자가 불가피하기 때문입니다. 감가상각방법에는 대표적으로 [1] 정액법과 [2] 정률법이 있습니다.

[1] 정액법

감가상각비를 매년 똑같은 금액으로 비용처리하는 것.

 

[2] 정률법

보유초기에 감가상각비를 많이 배분하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적게 배분하는 것.

 

정률법 계산법
=(취득원가-전기말 감가상각누계액)×상각률

 

예를 들어 100,000원에 산 옷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이걸 정률법으로 매년 40%씩 감가상각 해 나간다고 가정하고 계산해 보면

1년 차 잔존가치:100,000×40%=40,000원

2년 차 잔존가치:(100,000-40,000)×40%=24,000원

3년 차 잔존가치:(100,000-64,000)×40%=14,400원

4년 차 잔존가치:(100,000-78,400)×40%=8,640원

이처럼 정률법은 매년 감가상각비가 감소하나, 정액법은 매년 동일합니다. 그렇다면 둘 중 최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감가상각방법은?

왜냐하면 정액법입니다. 그 이유는 최근에는 기계장치를 포함한 자산들의 교체주기가 워낙 빨라주고 있는 추세라 가속상각의 장점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죠.

끝으로 한 가지 더 말씀드리면 감가상각비는 영업이익을 계산할 때는 반영하는 값이지만 실질적인 현금 지출은 없는 비용이라 현금흐름표에서는 계속 플러스되고 있다는 거까지 알고 가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 추천 글